호흡기 질환
호흡기 질환 관련 안내 입니다.
·
호흡기클리닉
·
호흡기질환
- 만성기침
- 알레르기천식, 만성폐쇄성질환
- 기관지확장증
- 결핵, 비결핵항산균폐질환
- 폐렴 및 감염성 폐질환(코로나, 인플루엔자, 신종전염병)
- 간질성 폐질환
폐렴 및 감염성 폐질환
-
01
폐렴은 무엇이고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요?
폐렴은 여러 세균, 진균 및 기생충에 의해 종말세기관지의 원위부인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낭 및 폐포로 구성된 폐실질의 염증으로 발열, 기침과 함께
흉부방사선 소견상 병변을 보이는 급성감염을 말하며, 발열, 오한 및 기침, 객담, 호흡곤란, 객혈, 흉통이 주요 증상입니다.02세균성 폐렴 진단은 어떻게 하는 건지요?
폐렴은 원인에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일반 성인에서는 바이러스보다 세균성 폐렴이 흔합니다.
발생장소에 따라서 분류할 때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폐렴을 지역사회획득폐렴(community acquired pneumonia)라고 합니다.
폐렴과 감별해야 하는 질환은 폐결핵, 간질성 폐질환, 폐 종양, 폐 경색증, 방사선 폐렴, 폐포단백증, 과민성 폐장염, 흡입성 물질로 인한 폐손상, 폐부종 등이 있으며
진료의사의 임상적 판단이 중요하며, 다음 검사들을 통하여 확진하는데 도움을 얻습니다.흉부엑스레이 촬영 -
침윤의 여부와 특징, 병변의 위치 및 침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흉부X선이 정상으로 보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CT)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객담 검사
(Sputum Gram
Stain and Culture)-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한 객담 그람염색과 배양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일부 균의 경우는
소변 항원 검사(Urinary antigen test) 또는 혈청검사(Serology)를 통하여 확인하고, 혈액배양(Blood culture)도 중증환자의 경우 필요합니다.혈액검사 -
전혈구 계산, 신기능, 혈당, 전해질, 간기능, C-반응성 단백질, 산소포화도 등의 혈액 검사를 시행하고,
임상적 상태와 더불어서 폐렴 진단 및 중증 여부를 평가합니다. -
03
폐렴의 치료는 어떻게 하는지요?
폐렴의 원인균에 대한 적절한 약물을 투여해야 하는데, 세균성 폐렴의 경우 항생제를 투여하여야 하며, 보통 지역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고려하여 경험적 항생제 처방을 하게 됩니다.
바이러스성 폐렴의 경우 항바이러스제 치료는 효과가 떨어지고, 보존적 치료를 합니다. 통상적으로 세균성 폐렴의 치료는 빠른 시간 안에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한데,
원인균을 진단하기 위한 객담 배양에 시간이 걸리고, 보통 폐렴의 50% 정도에서만 원인균이 밝혀지기 때문입니다.
환자의 폐렴 중증도를 평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입원치료 및 중환자실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04다른 호흡기 감염성 질환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요?
호흡기감염의 원인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비정형균, 결핵균, 비결핵항산균, 리케치아, 기생충이 있습니다.
폐감염의 원인들에 대한 조기 감별진단 및 조기 치료는 환자를 위한 임상적 측면으로도, 전염방지를 위하여 공중보건학적으로도 중요합니다.
최근 세계적인 대유행을 했던 코로나19 감염은 흔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이 되었고, 계절성 인플루엔자(독감), adenovirus, RSV(Respiratory Syncytial Virus),
rhinovirus, parainfluenza virus 등은 주요한 폐감염 바이러스이며, 이 감염들은 세균성 폐렴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바이러스 감염 및 폐렴의 이환을 막기 위하여,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노인의 경우 백신접종이 필요합니다.